한글 2.5, 국립한글박물관
2019
한글의 조형적 특징은 단순한 형태를 가지지만 그 활용성은 다른 문자보다도 유연하고 자유롭다. 이러한 한글의 속성에 착안하여 평면과 입체를 넘나드는 방식으로 대상을 확장하고 연결하여 다양한 변형을 통해 새로운 조화를 탐구하고 실험했다.



한글의 조형적 특징은 단순한 형태를 가지지만 그 활용성은 다른 문자보다도 유연하고 자유롭다. 이러한 한글의 속성에 착안하여 평면과 입체를 넘나드는 방식으로 대상을 확장하고 연결하여 다양한 변형을 통해 새로운 조화를 탐구하고 실험했다.